1. 정의
현장에서 지반조사를 통해 지반의 상태와 공내수위 등을 조사하여 표시한 예측도이다.
2. 토질주상도 도해
3. 토질주상도의 용도
4. 토질주상도 확인시 유의사항
① 건축물을 지지하는 지층 확인
② 표고와 GL관계를 규명하여 건축물 지지 level에 착오가 없도록 유의
③ 지반조사가 의문스러울 경우 추가 보링 test 실시
5. 지반조사의 종류
① 토질시험 ② 지내력 시험 ③ 토질주상도
1. 시추 주상도 샘플
2. 토질주상도 분석에 대한 결과 분석 샘플
1) 조사지역의 지층구조 : 상부로부터 매립층, 퇴적층, 풍화토, 풍화암 순으로 분포
2) 조사지역 각 지층의 층후 및 심도
3) 공내수위 : 현지표면 기준 (-)7.86m
조사지역의 공내 지하수위는 시추 완료 24시간 후 측정하였다. 공내지하수위는 현지 표면을 기준으로 (-)7.86m으로 나타나고 있다. 측정된 공내 지하수위는 굴진용수의 잔존 가능성이 있으며, 일반적으로 공내지하수위의 심도는 지표수의 영향을 받으므로 계절적인 변화, 강우량 또는 기후의 변화에 따라 다소 변동될 수 있다.
4) 지지층(50/10이상)의 심도 : 현지표면을 기준으로 12.8m에 분포
조사결과 지지층(50/10이상)의 심도가 현지표면을 기준으로 12.8m에 분포하므로 말뚝 기초가 타당할 것으로 사료되며, 오거굴착에 의한 말뚝의 삽입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 된다. 말뚝의 심도(길이)는 기초의 지내력 및 지하수의 거동 등에 따라 상이하므로, 본 시공 전에 필히 시항타를 실시한 후 시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. 만약 직접기초 를 고려할 때는 구조검토를 통한 정확한 설계지내력을 산정하여, 기초의 형식, 깊이, 크기 등을 결정하여야 하며, 기초저면까지의 터파기 후 원지반 지내력시험을 실시하 여, 정확한 지내력을 파악하여야 할 것이다.
'공부합니다 > 건축시공기술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건축시공기술사 서브노트] 토공사 - N치(표준관입시험치) (0) | 2022.05.18 |
---|---|
[건축시공기술사 서브노트] 토공사 - 평판재하시험(PBT : Plate Bearing Test) (0) | 2022.05.17 |
[건축시공기술사 서브노트] 토공사 - Piezocone(피에조콘) 관입시험 (0) | 2022.04.22 |
[건축시공기술사 서브노트] 가설공사 - 외부 비계용 브래킷(Bracket), 까치발 (0) | 2022.04.20 |
[건축시공기술사 서브노트] 토공사 - Vane Test, 베인 테스트, 베인 시험 (0) | 2022.04.19 |
댓글